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및 SEO

내 블로그, 잠들지 않고 일하게 하는 법: 검색 엔진 자동 색인 완벽 가이드

반응형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업가로서, 우리는 매일 밤낮으로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런데 그렇게 애써 작성한 글들이 검색 엔진에 제대로 노출되지 않는다면 어떨까요? 마치 열심히 만든 작품을 창고에 넣어두는 것과 같을 것입니다. 블로그는 살아있는 유기체와 같습니다. 콘텐츠를 만들면 끝이 아니라, 독자들이 그 콘텐츠를 발견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직접 겪었던 경험과 해결책을 바탕으로, 구글, 네이버, 빙 등 주요 검색 엔진에 블로그 콘텐츠가 자동으로 색인되도록 설정하는 '한 번 설정으로 끝내는'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더 이상 수동 작업에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지 마세요. 우리 블로그를 잠들지 않고 일하게 하는 방법을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 왜 블로그 자동 색인이 필요한가요?

수작업의 번거로움을 경험해 보신 분이라면 이 질문에 고개를 끄덕이실 겁니다. 새로운 글이 발행될 때마다 각 검색 엔진에 들어가 URL을 일일이 제출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중요한 글을 놓칠 위험도 있습니다.

  • 시간과 에너지 절약: 자동 색인 시스템을 구축하면 불필요한 수작업을 줄이고, 오롯이 양질의 콘텐츠 생산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누락 없는 검색 노출: 모든 새 글과 업데이트 글이 자동으로 검색 엔진에 알려지므로, 콘텐츠 누락 없이 잠재 독자들에게 도달할 수 있습니다.
  • 초기 노출의 중요성: 검색 엔진은 새로운 콘텐츠를 빠르게 색인하여 초기 노출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게 돕습니다.

블로그가 당신을 위해 쉬지 않고 일하게 하려면, 자동 색인 시스템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 도메인 연결과 HTTPS 설정: 안정적인 블로그의 첫걸음

블로그 자동 색인의 기반은 바로 안정적인 도메인과 HTTPS 설정입니다.

  • 커스텀 도메인의 중요성: jincolife.tistory.com 대신 jincolife.com과 같은 커스텀 도메인을 사용하면 전문성과 브랜딩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저는 Namecheap에서 도메인을 구매했습니다.
  • HTTPS의 필수성: http 대신 https를 사용하는 것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보안 강화를 넘어 구글과 같은 검색 엔진은 HTTPS를 사용하는 사이트에 SEO 가점(순위 상승 요인)을 줍니다. 방문자 신뢰도 또한 높아집니다.

HTTPS가 적용되어야 검색 엔진들이 블로그 콘텐츠를 신뢰하고 접근할 수 있으니, 이 부분이 안정적으로 구축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3. 사이트맵 형식 확인 및 제출 준비

검색 엔진에 블로그 콘텐츠를 자동으로 알리는 핵심은 바로 사이트맵입니다. 사이트맵은 마치 웹사이트의 지리 정보가 담긴 '지도'와 같습니다. 각 검색 엔진에 이 지도를 제출하여 검색 로봇(크롤러)이 효율적으로 블로그의 모든 페이지를 찾아가도록 돕습니다.

사이트맵은 보통 XML 형식으로 제공됩니다. 여러분의 블로그에 따라 사이트맵 주소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https://<domain>/sitemap.xml
https://<domain>/rss

 

워드프레스

https://<domain>/sitemap_index.xml
https://<domain>/feed
  • 티스토리 (jincolife.com):
    • 사이트맵 (전체 페이지 지도): https://jincolife.com/sitemap.xml
    • RSS 피드 (최신 글 목록): https://jincolife.com/rss 또는 https://jincolife.com/feed (네이버는 sitemap.xml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 워드프레스 (koflavours.com): (Yoast SEO, Rank Math 등 SEO 플러그인 사용 시)
    • 사이트맵 인덱스 (통합 지도): https://koflavours.com/sitemap_index.xml (가장 상위의 사이트맵이며, 구글 서치 콘솔에 제출하기에 가장 적합)
    • 단일 사이트맵 (세부 지도): https://koflavours.com/sitemap.xml (플러그인 설정에 따라 인덱스 파일 대신 이 형태일 수 있음)
    • RSS 피드 (최신 글 목록): https://koflavours.com/feed

✔️ 사이트맵 생성 여부 및 형식 확인 방법:

해당 사이트맵 주소를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직접 입력하고 접속해 보세요. (예: https://jincolife.com/sitemap.xml 또는 https://koflavours.com/sitemap_index.xml)

  • 정상인 경우: XML 형식의 코드가 나타나거나, sitemap_index.xml의 경우 여러 하위 사이트맵 링크(폴더처럼 보이는)가 나열됩니다. 하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사이트맵의 XML 코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 오류인 경우: 페이지를 찾을 수 없거나(404 에러), 이상한 형태로 깨져 보인다면 사이트맵이 제대로 생성되지 않았거나 주소가 올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워드프레스의 경우 SEO 플러그인의 사이트맵 설정을 확인하거나 다시 생성해야 할 수 있습니다.

4. 검색 엔진별 자동 색인 설정: 단계별 완벽 가이드

이제 기반을 다지고 사이트맵을 확인했으니, 각 검색 엔진에 우리 블로그의 콘텐츠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핵심은 사이트맵 제출소유권 확인입니다.

4.1. 빙 (Bing) 웹마스터 도구

빙은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 엔진으로, 최근 IndexNow 프로토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빠른 색인을 지원합니다.

  • 빙 웹마스터 도구 등록: bing.com/webmasters/에 접속하여 블로그 속성을 추가합니다.
  • 소유권 확인: 구글 서치 콘솔과 연동하거나, HTML 태그/파일 업로드 등의 방식으로 소유권을 확인합니다.
  • 사이트맵 제출: 사이트맵은 빙이 블로그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발견하고 색인할 수 있도록 돕는 '지도'입니다.
    • 저는 jincolife.com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https://jincolife.com/rss 주소를 사이트맵으로 제출했습니다. 빙은 RSS 피드도 사이트맵처럼 유연하게 처리하여 정상적으로 등록되었습니다.
    • 워드프레스 (koflavours.com)의 경우: https://koflavours.com/sitemap.xml 또는 https://koflavours.com/sitemap_index.xml 주소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4.2. 구글 (Google) 서치 콘솔

전 세계 검색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는 구글에 블로그를 노출하는 것은 가장 중요합니다.

  • 구글 서치 콘솔 등록: search.google.com/search-console에 접속하여 블로그 속성을 추가합니다.
    • 속성 추가 방식: Domain propertyURL prefix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 Domain property: DNS TXT 레코드를 추가하여 전체 도메인(모든 HTTP/HTTPS, 서브도메인 포함)을 한 번에 관리합니다. 권장되는 방식이지만, 네임칩 DNS 설정처럼 복잡할 수 있습니다.
      • URL prefix: https://jincolife.com/처럼 특정 URL 버전에 대해 소유권을 확인합니다. HTML 태그 삽입 등 간편한 방법으로 소유권 확인이 가능하며, DNS 문제 등으로 도메인 방식 소유권 확인이 어려울 때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저는 jincolife.com을 이 방식으로 연결했습니다. (참고: 나중에 도메인 방식(전체 도메인)으로 다시 시도해도 이전에 설정한 prefix 방식은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 사이트맵 제출: sitemap.xml 파일을 제출하여 구글이 블로그의 모든 페이지를 효과적으로 크롤링하도록 돕습니다.
    • 티스토리 (jincolife.com): https://jincolife.com/sitemap.xml 주소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 워드프레스 (koflavours.com): Yoast SEO, Rank Math 같은 SEO 플러그인을 사용하시면 https://koflavours.com/sitemap_index.xml 또는 https://koflavours.com/sitemap.xml와 같은 주소로 사이트맵이 생성됩니다. 이 주소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 'Couldn't fetch' 상태: 사이트맵 제출 후 Couldn't fetch라는 상태가 뜰 수 있습니다. 이는 구글이 사이트맵을 처리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해결됩니다. 오류가 아닌 대기 상태이니 인내심을 갖고 기다리세요.
    • 다중 제출: koflavours.com의 경우, httphttps 버전을 모두 등록하고, https 버전에는 sitemap_index.xmlsitemap.xml을 모두 제출했습니다. 이는 구글이 모든 경우의 수를 파악하여 최적의 경로로 색인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가 있으며, 문제 발생 없이 정상 처리됩니다.

4.3. 네이버 (Naver) 서치 어드바이저

국내 검색 시장에서 네이버는 여전히 중요합니다.

  •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등록: searchadvisor.naver.com에 접속하여 블로그 속성을 추가합니다.
  • 소유권 확인:
    • 가장 쉽고 확실한 방법은 'HTML 태그'를 통해 <head> 섹션에 메타 태그를 삽입하는 것입니다. 워드프레스의 경우 'Insert Headers and Footers' 플러그인을 활용하면 테마 업데이트 시 코드가 사라질 염려 없이 안전하게 삽입할 수 있습니다.
  • 사이트맵 제출: 네이버도 사이트맵 제출을 지원합니다.
    • 티스토리 (jincolife.com): https://jincolife.com/sitemap.xml을 제출하시면 됩니다. (이전에는 https://jincolife.com/rss가 "올바른 형식이 아닙니다"라는 오류가 떴지만, sitemap.xml을 사용하니 정상적으로 제출되었습니다. 네이버는 RSS보다 sitemap.xml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워드프레스 (koflavours.com): https://koflavours.com/sitemap.xml 또는 https://koflavours.com/sitemap_index.xml을 제출하시면 됩니다.
  • RSS 제출: 최신 글의 빠른 반영을 위해 RSS 제출도 함께 해두면 좋습니다. https://[도메인]/feed (워드프레스) 또는 https://[도메인]/rss (티스토리) 형식을 사용하세요.

5.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위한 추가 자동화: IndexNow 활용

워드프레스 블로그 (koflavours.com)를 운영하신다면, IndexNow 플러그인을 활용하여 더욱 빠른 색인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 IndexNow의 원리: 전통적인 사이트맵은 검색 엔진이 '가져가는' 풀(Pull) 방식인 반면, IndexNow는 새로운 콘텐츠나 업데이트된 콘텐츠를 검색 엔진에 '즉시 알려주는' 푸시(Push)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검색 엔진 크롤러가 사이트 변화를 매우 빠르게 인지하고 색인 우선순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워드프레스 적용: 워드프레스의 경우, Yoast SEO나 Rank Math 같은 SEO 플러그인이 사이트맵을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여기에 공식 'IndexNow Plugin' (by Microsoft)을 추가로 설치하고 활성화하면 됩니다.
    • 이 플러그인은 별도의 복잡한 설정 메뉴 없이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작동합니다. 즉, 설치하고 활성화만 해두면 워드프레스에서 새 글을 발행하거나 글을 수정할 때마다 빙(Bing)과 IndexNow를 지원하는 다른 검색 엔진에 자동으로 알림을 보내줍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여러분은 콘텐츠 작성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글이나 급하게 노출해야 할 글이 있다면 각 검색 엔진의 'URL 검사' 또는 'URL 제출' 기능을 통해 수동으로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 잠들지 않고 일하는 블로그 만들기

지금까지 우리는 블로그 콘텐츠가 구글, 네이버, 빙 등 주요 검색 엔진에 자동으로 색인되도록 하는 모든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도메인과 HTTPS 설정부터 각 검색 엔진별 웹마스터 도구 등록, 사이트맵 제출, 그리고 워드프레스의 IndexNow 활용까지, 이 모든 과정은 여러분의 귀한 시간과 노력을 콘텐츠 본질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강력한 자동화 시스템입니다.

 

이제 여러분의 블로그는 24시간 잠들지 않고 일하며, 세상의 독자들에게 끊임없이 여러분의 메시지를 전달할 것입니다. 주기적으로 각 검색 엔진 웹마스터 도구의 '색인 현황'이나 '성과 보고서'를 확인하여 블로그가 잘 작동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는 것만 잊지 마세요. 이 가이드가 여러분의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