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3) 썸네일형 리스트형 Internet Computer (Web 3) application The firs generation of the internet, Web 1, gave us the freedom to access any data on the internet anywhere. And the second one, Web 2, allowed us not only just to comsume the data but also to create contents. With the advent of the internet computer, we are on the verge of being the owner of the contents we have created. Web 3 is a new paradigm that distributes the one giant internet system to .. Web 3 Application Deployment with Cycles Faucet Nothing is free in this world. Running an application on the internet requires sources too. To deploy the Web 3 application we need something called cycles which is like fuel to run the application (canister). There are many ways to get Cycles from buying them with ICP tokens to participate in some kind of survey. But the easiest way, I think, is to get the token from the definite cycles faucet .. 인터넷 컴퓨터 (웹 3) 애플리케이션 1990년대 인터넷이 상용화로 누구나 쉽게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웹 1). 이후 소셜미디아 플랫폼의 출현으로 단순한 정보의 소비만 아니라 직접 제작한 콘텐츠를 공급까지 하는 시대(웹 2)를 거처 해당 콘텐츠의 소유권까지 가지는 웹 3의 도래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웹 3은 분산화된 인터넷 환경으로 기존 소수의 대기업에 의해 운영되던 인터넷을 분산, 개개인이 가진 자원을 통해 운영하는 방식으로 인터넷의 사유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필수개념 1. 캐니스터 캐니스터는 실행할 코드와 실행된 코드의 상태를 담고 있으며 인터넷 컴퓨터 작동의 기반이 됩니다. 2. 사이클 글로벌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려면 저장, 대역 등 많은 자원이 필요합니다. 인터넷 컴퓨터에서 사이클은 이러한 자원역..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