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네릭

(3)
관계형 데이터 불러오기 (참조 데이터 포함) - 지네릭 레포지토리 패턴 지네릭 레포지토리 패턴은 동적으로 타입을 지정할 수 있게 해 주는 패턴으로 동일한 기능을 하는 메서드를 중복 생성할 필요를 줄여 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네릭 레포지토리 패턴을 사용할 경우 엔티티프레임 워크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바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연관된 테이블의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추가 작업이 필요한데, 다양한 패턴 중 스페시피케이션이라는 패턴을 사용하여 연관된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을 살펴 보겠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서버 아키텍처 - 지네릭 레포지토리 레포지토리는 정적 타입을 가지는 데 이는 엔티티가 증가할 때마다 레포지토리를 추가로 생성해야 하는 불편함을 줍니다. 지네릭은 동적으로 타입을 지정하는 기능으로 지네릭 레포지토리를 사용하여 하나의 레포지토리를 여러 엔티티가 공유하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프로젝트 구성하기 프로젝트 생성 및 기본구조 구성 서버 아키텍처 - 프로젝트 분산하기 서버 구조 인터페이스는 서버에 대한 요청과 응답처리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할 쿼리를 작성하고 데이터를 받는 역할을 수행하는 인프라스트럭처 프로젝트에 의존합니다. 인프라스트럭처 jin-co.tistory.com MVC 패턴구현하기 서버 아키텍처 - 엠브이씨 비즈니스 로직과 데이터를 처리하는 코드는 분산하는 것이 좋습니다. 엔티티프레임워크는 MVC 패턴을 제공하는데요. 사용법을..
지네릭 타입제한은 오류를 사전에 발견할 수 있게 하여 안정성을 높이지만 반대로 정해진 타입만 사용가능하므로 코드의 재사용성을 감소시킵니다. 지네릭은 타입제한을 통한 안정성과 코드의 재사용성을 함께 제공하는데요. 코드를 통해 어떻게 지네릭이 사용되는지 보겠습니다. 타입제한 없음 먼저, 아무런 타입제한이 없는 경우의 코드입니다. 타입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배열에 아무런 값이나 들어갈 수 있습니다. // generic.ts class storage { private data:any[] = []; addData(newData) { this.data.push(newData) } } const data = new storage(); data.addData('new') data.addData(1) 타입제한 하지만, 해당 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