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8) 썸네일형 리스트형 함수 오버로딩 VS 오버라이딩 자바에서 함수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에 대해 알아보자 (비슷하게 생겨서 헷갈린다). 간단한 차이를 보면 함수 오버로딩은 주로 같은 클래스 내에 동일한 이름을 가진 함수가 다른 매개변수를 가질 때를 의미하고 함수 오버라이딩은 자식클래스가 부모로부터 상속받은 함수를 함수이름이나 매개변수 변경 없이 자식 클래스의 특성에 맞게 수정할 때 사용된다. 오버로딩 VS 오버라이딩 공통점 같은 이름을 가진 함수를 수정 차이점 오버로딩 오버라이딩 함수의 기능을 다른 매개변수로 다양화 부모 클래스 함수를 자식클래스에서 수정 상속관계에서도 사용가능 반드시 상속관계에서만 가능 매개변수가 다르다 (같으면 에러뜬다) 매개변수가 같아야 한다 리턴 타입 달라도 된다 리턴 타입이 같아야 한다 접근권이 달라도 된다 자식함수는 부모함수보다 .. 자바: 에러: release version 21 not supported 자바 컴파일러 (JDK) 버전과 메이븐 파일의 버전이 불일치할 때 나는 에러로 컴파일러 버전은 반드시 메이븐 버전과 같거나 그 이상이어야 한다. version not supported 에러는 아래와 같이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SDK와 버전을 확인하지 않고 생성하는 경우 발생한다 프로젝트 생성 후 구동 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타난다면 파일 -> 프로젝트 설정에서 SDK 버전을 업데이트하거나 pom.xml 파일에 parent와 프로퍼티 버전을 다운그레이드하면 된다 우측 상단에 조그만 아이콘을 클릭하여 pom.xml 파일을 반영 (Ctrl + Shift + O) 이상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상속 객체지향 프로그램에 장점 중하나인 상속에 대해 알아보자. 상속은 하나의 클래스의 특성과 기능을 물려받고 필요에 따라 상속받는 클래스의 부가적인 특성을 추가하거나 물려받은 특성을 수정하여 사용하는 기능이다.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부모로부터 상속가능하며 부모다 다른 클래스를 상속하는 경우 조상의 특성은 모두 사용가능하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클래스 클래스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가 가지는 특징이나 행동패턴 등을 규정하는 틀입니다 (그래서 클래스를 쿠키커터라고도 함). 클래스는 특성을 규정하는 필드, 행위를 규정하는 매서드, 클래스 생성에 필요한 생성기를 가집니다. 클래스의 개념은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더라도 대동소이하지만 사용법은 언어마다 조금씩 다르므로 오늘은 자바 클래스를 다루어보겠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스위치 스위치는 조건처리를 위한 코드로 대부분의 언어에서 제공되며 근본적으로 이프 엘스 구문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프 엘스 구문에 비해 가독성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자바 스위치문법을 살펴보겠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롬복 객체지향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엔티티가 사용됩니다. 엔티티는 고유의 특성을 규정하는 필드를 가지는데 외부에서 자유로이 필드값을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겟터, 셋터를 사용합니다. 문제는 이러한 겟터와 셋터는 비즈니즈 로직을 담고 있다기보다 비즈니스 로직 실현을 위한 공통코드로 생산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입니다. 롬복은 이러한 공통코드를 어노테이션을 통해 자동 생성 해 주는 디펜던시로 오늘은 롬복을 사용하는 법을 보겠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만들기 자바는 객체지향언어로 1995년에 James Gosling에 의해 개발된 이후 지금까지도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스프링은 자바 웹 개발에 사용되는 프레임 워크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스프링의 단점 중 하나는 본격적인 개발에 앞서 웹 개발에 필요한 서버와 jar파일 등 설정을 수동으로 해야 한다는 점인데 스프링 부트는 이러한 설정을 자동으로 해 주고 서버 또한 제공해 주는 헬퍼로 스프링의 단점을 극복해 주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오늘은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방법과 기본설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자바스크립트 모듈 - 물결효과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요 텍스트 물결효과 모듈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완성된 물결효과 코드는 아래와 같은데요. 텍스트 요소에 클래스 이름 이름 지정만으로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있으며 작동은 지정된 클래스를 단어로 분리하고 효과를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 wave-module.js const waveTextEl = document.querySelector('.wave-text') setInterval(() => { const child = waveTextEl.firstElementChild const spanEls = document.querySelectorAll('.wave-text span') if (window.getComputedStyle(child).transform.includes('-4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