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터넷 컴퓨터 (웹 3) 애플리케이션 1990년대 인터넷이 상용화로 누구나 쉽게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웹 1). 이후 소셜미디아 플랫폼의 출현으로 단순한 정보의 소비만 아니라 직접 제작한 콘텐츠를 공급까지 하는 시대(웹 2)를 거처 해당 콘텐츠의 소유권까지 가지는 웹 3의 도래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웹 3은 분산화된 인터넷 환경으로 기존 소수의 대기업에 의해 운영되던 인터넷을 분산, 개개인이 가진 자원을 통해 운영하는 방식으로 인터넷의 사유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필수개념 1. 캐니스터 캐니스터는 실행할 코드와 실행된 코드의 상태를 담고 있으며 인터넷 컴퓨터 작동의 기반이 됩니다. 2. 사이클 글로벌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려면 저장, 대역 등 많은 자원이 필요합니다. 인터넷 컴퓨터에서 사이클은 이러한 자원역.. 브라우저 브라우저는 유저가 서버로부터 HTML형태의 정보를 가져와서 이를 문자와 이미지 등의 형태로 변화하여 화면에 표시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불과 2000년대 초반까지 윈도 익스플로러가 주를 이루었던 반면 지금은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브라우저가 존재하는데요. Google Chrome 구글이 개발한 브라우저로 애플의 Webkit과 모질라의 파이어폭스를 기반으로 2008년에 출시한 이래로 독보적인 인기를 자랑하고 있는 브라우저입니다. 크롬은 자바스크립트의 구동속도를 향상하기 위해 자체개발한 V8엔진 등을 바탕으로 한 빠른 검색속도와 검색에 최적화된 화면구성으로 사용자가 가장 사용하기 편리한 브라우저로 꼽히는데요. 전 세계 브라우저 시장의 점유율이 50%를 넘는 데는 이유가 있겠죠. Mozilla Fi..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