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어헤드 오브 타임 컴파일러 작동원리 변환단계 코드분석 (code analysis) 코드생성 (code generation) 템플릿 체크 (template type checking) 소스코드 표본 생성하지만 변환은 하지 않는 단계. 메타데이터 문법 오류만 기록 메타데이터 오류 분석을 계속 실시하고 오류 표시 옵션 단계로 템플릿 내에 binding 문법 확인 템플릿 체크 옵션 켜기 tsconfig.json 파일에서 "strictInjectionParameters": true { "compileOnSave": false, "compilerOptions": { "baseUrl": "./", // ... }, "angularCompilerOptions": { "enableI18nLegacyMessageIdFormat": false, "strictI.. 앵귤러 콤파일러 저스트 인 타임 VS 어헤드 오브 타임 앵귤러에서 작성된 HTML과 Component (TypeScript), Declarative code, 는 JavaScript로 변환 (compilte)을 거쳐야만 브라우저에 시 인식이 가능합니다. 변환하는 시기에 따란 JIT와 AOT가 있는데요. 그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JIT (Just In Time) Compiler 브라우저가 작동할 때 해당코드를 변환 (runtime compilation). 파일 별로 변환하는 방식이고 브라우저가 코드를 변환하기 위해 ㅇ앵귤러 콤파일러를 다운로드하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고 용략이 커짐. 로컬 개발환경에 적합. AOT (Ahead Of Time) Compiler 브라우저가 작동하기 전에 작성된 코드를 사전에 변환하는 방식 (build time compliation..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