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및 SEO

티스토리 사용자 정의 도메인의 숨겨진 비밀: 중복 콘텐츠, 이제 걱정 마세요!

Jin-Co 2025. 9. 11. 13:04
반응형

티스토리 블로그에 사용자 정의 도메인(jincolife.com과 같은 나만의 주소)을 연결하셨다면, 한 가지 의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 "분명히 새 도메인을 연결했는데, tistory.com 주소도 여전히 살아있네? 이거 중복 콘텐츠 문제로 검색 순위에 불이익을 받는 건 아닐까?"

기존 tistory.com 주소가 새 도메인으로 301 리디렉션(영구 이동)되지 않는 현상 때문에, 많은 블로거들이 검색 엔진 최적화(SEO)에 문제가 생길까 우려합니다.

하지만 티스토리는 이 문제를 매우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블로그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면밀히 살펴보면, 핵심적인 단서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주소창은 그대로인데, 내부적으로는 새 주소를 쓰고 있다?"

저 역시 tistory.com 주소가 커스텀 도메인으로 리디렉션 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혼란스러웠습니다. 구글, 네이버, 빙 등 검색 엔진은 동일한 내용이 두 개 이상의 다른 URL을 통해 접근될 때 어떤 페이지를 색인해야 할지 혼동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검색 엔진 순위 하락의 원인이 될 수 있기에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티스토리는 사용자 정의 도메인을 연결하면, 겉으로는 tistory.com 주소가 그대로 활성화된 것처럼 보여도, 페이지의 HTML 소스 코드 안에는 모든 콘텐츠의 **'진짜 주소(정규 URL)'를 커스텀 도메인으로 지정하는 <link rel="canonical" href="새 도메인 주소" /> 태그를 자동으로 삽입합니다.**

예를 들어, 제 블로그의 글에 https://jin-co.tistory.com/123으로 접속하더라도, 해당 페이지의 HTML 소스에는 다음과 같은 코드가 숨겨져 있습니다.

```html

직접 확인해보세요!

말로만 듣는 것보다 직접 확인해 보는 것이 이해가 빠를 겁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해 보세요:

  1. 기존 티스토리 주소로 접속하세요:
    • 예: https://your-id.tistory.com/123 (본인의 글 주소로 입력)
  2. 페이지 소스 코드를 확인하세요:
    • 페이지가 열리면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페이지 소스 보기(View Page Source)'를 선택하세요.
    • 단축키: Windows는 Ctrl + U, Mac은 Command + U
  3. 캐노니컬 태그를 검색하세요:
    • 소스 코드 페이지에서 Ctrl + F(또는 Command + F)를 눌러 canonical을 검색해 보세요.
  4. 태그 내용을 확인하세요:
    • 아래와 같은 코드가 보일 것입니다:
      <link rel="canonical" href="https://your-custom-domain.com/123" />
    • 여기서 your-custom-domain.com은 여러분이 설정한 커스텀 도메인입니다.

이렇게 직접 확인해 보면, 티스토리가 자동으로 커스텀 도메인을 정규 URL로 설정하고 있다는 사실을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Canonical Tag, 이게 왜 중요할까요?

Canonical Tag (정규 태그)는 검색 엔진 최적화에서 매우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태그는 검색 엔진에게 다음과 같은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 중복 콘텐츠 문제 해결: 이 페이지의 내용은 여러 URL(예: tistory.com 주소, custom.com 주소)로 접근될 수 있지만, <canonical> 태그에 지정된 URL(custom.com 주소)이 바로 이 콘텐츠의 원본이자 대표 URL임을 알려줍니다.
  • 색인 정확성 향상: 검색 엔진은 이 지시를 따라 custom.com 주소만을 색인하고 순위를 매기게 됩니다. 덕분에 여러 주소가 동일한 콘텐츠를 제공해도 검색 엔진은 혼동하지 않고, 사용자는 항상 정식 주소로 검색 결과에 도달할 수 있게 됩니다.
  • 링크 신호 통합: 만약 외부 사이트에서 tistory.com 주소로 링크를 걸었다 하더라도, 검색 엔진은 이 링크의 신호를 custom.com 주소로 통합하여 SEO 효과를 발휘하게 됩니다.

티스토리 사용자라면 이제 안심하세요!

이 사실을 통해, 티스토리 사용자 정의 도메인 설정 후 발생했던 중복 콘텐츠에 대한 우려는 해소됩니다.

  • 301 리디렉션이 아니어도 문제없다: 겉으로 보기에는 301 리디렉션이 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티스토리는 <canonical> 태그라는 영리한 방식으로 검색 엔진에게 '진짜 주소'를 알려주고 있었던 것입니다.
  • 수동 설정 불필요: 이 <canonical> 태그는 티스토리에서 사용자 정의 도메인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삽입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스킨을 편집하여 추가할 필요가 없습니다.

⚠️ 주의! 잘못된 정보에 현혹되지 마세요!
간혹 일부 블로그나 정보에서 티스토리 사용자 정의 도메인에 수동으로 <canonical> 태그를 추가해야 한다고 조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불필요하며, 오히려 코드를 잘못 삽입할 경우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는 사용자 정의 도메인을 설정하면 이 중요한 태그를 자동으로 삽입하므로, 여러분이 따로 손댈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잘못된 정보로 인해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지 마세요.

혹시 사용자 정의 도메인 적용 후 방문자 수가 줄었다면?

저처럼 tistory.com 주소가 여전히 살아있어 방문자 감소의 원인이라고 생각하셨다면, 그것이 직접적인 원인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복 콘텐츠 문제는 <canonical> 태그를 통해 이미 해결되고 있었으니까요.

오히려 방문자 수 감소는 다음과 같은 다른 SEO 요인들 때문일 수 있습니다:

  • 키워드 경쟁 심화
  • 검색 엔진 알고리즘 변화
  • 콘텐츠의 신선도나 품질 문제
  • 사이트 속도 저하 등 기술적 문제

이제는 티스토리 도메인 설정에 대한 걱정을 내려놓고, 더욱 양질의 콘텐츠 생산과 다른 SEO 요소들을 최적화하는 데 집중할 때입니다.

결론: 티스토리는 똑똑하게 일하고 있었다!

티스토리가 겉보기에는 명확하지 않았던 방식으로 SEO 친화적인 처리를 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놀라움을 넘어 배울 점이 많습니다. 사용자 정의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다면, 이미 블로그는 검색 엔진에게 제대로 된 '나의 집 주소'를 알려주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 정보가 저처럼 오랫동안 티스토리 도메인 설정에 대해 고민하고 계셨던 분들께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심하시고 즐거운 블로그 운영하시길 응원합니다!

728x90
반응형